콘텐츠로 건너뛰기

QLD ETF 직투 vs ISA 국내 상장 나스닥 레버리지 투자, 선택은?

  • 기준

왜 굳이 QLD ETF를 직접투자로 사고 있지? 국내 상장된 나스닥 레버리지 ETF를 ISA 계좌로 운용하면 되는데? 어쩌면 투자의 핵심 중 하나인 세금과 계좌 활용 측면을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직투 vs 국내 상장 vs ISA

투자를 하다 보면 수익률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세금입니다. 제가 고민에 빠진 지점도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 미국 직투(QLD): 연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 그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는 22%의 양도소득세를 냅니다. 깔끔하게 분리과세로 끝나죠.
  • 국내 상장 ETF(일반 계좌): 여기서 문제가 복잡해집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의 수익은 배당소득세로 취급되어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만약 이 수익이 연 2,000만 원을 넘어가면?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종합소득세 대상이 되고, 자칫하면 건강보험료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국내 상장 ETF(ISA 계좌): 이것이 치트키였습니다. ISA 계좌 내에서 발생한 수익은 한도 내(일반 200만 원)에서 전액 비과세이며,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도 9.9%의 저율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고액 자산가가 아니거나 연봉이 아주 높은 수준이 아니라면 22%의 양도세를 내는 직투보다 9.9% 분리과세(혹은 비과세) 혜택이 있는 ISA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것이었습니다.

국내 상장과 비교

처음 이 고민을 시작하며 두 상품의 차트를 비교해 봤습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과 QLD를 트레이딩뷰에서 비교했죠. 그런데 이상하게도 국내 상장 TIGER 상품의 수익률이 QLD를 압도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처음엔 아, QLD는 달러 기준이라 환차익이 반영 안 돼서 그런가 보다라고 단순하게 생각했습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상품은 환율도 2배를 추종한다는 점입니다. 즉, (지수 2배) X (환율 2배)의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죠.

최근처럼 환율이 계속 우상향하는 시기에는 지수 상승분 + 환율 상승분까지 더해져 QLD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보여준 것이었습니다.

물론 이는 반대로 환율이 하락할 경우 손실도 2배가 될 수 있다는 엄청난 변동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참고로, 트레이딩뷰에서 QLD*USDKRW를 입력하면 QLD의 원화 환산 차트를 볼 수 있다는 꿀팁도 얻었습니다. )

ISA는 3년짜리?

사실 제가 IS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ISA는 3년짜리 단기 계좌라는 막연한 편견 때문이었습니다.

3년 뒤에 해지할 계좌에 장기 투자할 레버리지 상품을 담는 것이 망설여졌죠. 하지만 이 역시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3년은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한 최소 의무 기간일 뿐, 만기 연장을 통해 10년 이상, 혹은 처음 가입할 때 2999년으로 설정하는 것처럼 거의 평생 가져갈 수 있는 계좌였습니다.

심지어 해지 후에는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여 연금소득으로 저율 과세 받는 플랜도 가능합니다.

앞으로의 전략은?

ISA 계좌 활용 극대화

세금 혜택이 가장 강력한 ISA 계좌에서 국내 상장 나스닥 2배 레버리지 상품을 풀매수에 가깝게 적립식으로 모아간다.(참고로 레버리지 상품은 연금저축계좌에서는 불가능하고, ISA에서만 가능합니다. )

직투 계좌의 역할 변경

직투 계좌에서는 QLD 매수를 중단하거나 비중을 줄이는 대신, ISA나 연금저축에서 담을 수 없는 개별 종목(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등) 모아가는 창구로 활용한다.

결국 계좌의 성격에 맞는 상품을 배치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금 무섭다고 수익 낼 기회를 피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지만, 합법적으로 세금을 아낄 수 있는 절세계좌를 활용하지 않는 것 또한 비효율적인 투자였던 것이죠.

저처럼 QLD만 직투로 모으고 계셨다면, 한 번쯤 ISA 계좌를 활용한 국내 상장 레버리지 투자를 고민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 글은 개인적인 투자 고민을 정리한 내용이며, 특정 상품의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