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유리창에 버스 공공 와이파이라고 해서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붙어 있더라고요. 평소에 뭐지? 하고 생각만 하다가 자세히 보지는 않았는데 막상 월말일이 다가오고 모바일 데이터가 부족해지는 상황이 다가오니깐 공공 와이파이라는 단어에 눈이 가더군요.
말 그대로 버스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버스를 타고 장시간 이동을 해야 된다면 유용하게 이용해볼 만한 서비스일 겁니다. 물론 데이터 무제한이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매월 부족한 데이터로 아슬아슬하게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면 꽤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유의사항
- 공공인만큼 누구나 접속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이라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패킷은 암호화된다고 합니다.
-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무선망 특성상 보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서비스 이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용자의 유무형 손실에 대해서 제공자는 면책이 되니 개인정보 보호 등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주의를 해야 된다고 합니다.
- 보안설정이 없는 경우 개인정보 유출 등의 염려가 있는 금융거래나 기업 업무, 로그인 등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이용은 자제하는 게 좋을듯합니다.
버스 와이파이 접속 방법
사진을 찍었는데 아무래도 버스가 많이 흔들려서 제대로 안 보이네요. 자세히 봐야겠죠.

버스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PublicWifi@BUS_Secure 접속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간략한 접속 순서
- 안드로이드는 핸드폰으로 와이파이 실행 후 PublicWifi@BUS 검색이 되면 접속을 해줍니다. 이때 EAP 방식은 PEAP, 아이디는 wifi 입력하고 비밀번호도 wifi 입력을 해줍니다.
- CA 인증서는 인증 안 함으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 (PEAP 선택 후 2단계 인증 및 CA 인증서는 [설정 안 함] 또는 [없음]으로 선택합니다.)
- 아이폰의 경우도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wifi로 입력을 해주며 됩니다.
갤럭시에서 와이파이 접속 설정 방법
설정 앱을 실행하고 연결 메뉴에서 와이파이 글자를 터치하고 사용 중으로 버튼을 활성화시켜 줍니다.
와이파이를 실행하니 PublicWifi@BUS Free로 바로 접속이 되네요. 아무래도 Secure 접속을 권장한다고 하니 시큐어 와이파이로 새로 접속을 시도해 줍니다.

비밀번호 입력
설명대로 PEAP 방식으로 아이디, 비밀번호는 wifi 입력하고 ca 인증서 안 함으로 설정 후 연결을 시도합니다.

PublicWifi@BUS_Secure에 접속이 되었네요. 이제 이용만 하면 되겠죠. 아무래도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되는 이용은 웬만하면 자제를 해서 와이파이 사용을 하는 게 좋을 듯합니다. Secure로 접속을 했다고 하더라도 공공와이파이인만큼 이용을 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속도 테스트
속도를 측정해보면 아무래도 지역이나 접속자, 위치 등에 따라 차이가 날 테니 측정할 때마다 차이가 나더군요. 근데 실제 이용하는 데에는 무리 없이 자연스럽게 느린 감 없이 이용해 볼 수 있는 듯합니다.


사용하는 핸드폰 모바일 요금제가 매월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버스에서도 와이파이 접속 이용을 해볼 수 있으니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