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교통카드로 캐시비를 많이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물 캐시비 교통카드를 보통 편의점 등의 충전소에서 오프라인으로 많이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편하게 사용하는 휴대폰으로도 충전 및 잔액조회를 해볼 수 있습니다. 휴대폰에 NFC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NFC 통신 기술을 사용해서 모바일 캐시비 앱을 통해서 실물 교통카드의 충전이랑 잔액조회를 간편하게 이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모바일 캐시비 앱을 실행하고 핸드폰 NFC 기능을 켜준 다음 캐시비 교통카드를 휴대폰 뒷면에 접촉시켜주면 카드가 인식되어서 잔액조회와 충전이 가능한데요. 충전을 할 때에는 카드나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등의 결제수단으로 충전을 해줄 수 있습니다. 이때 충전 수수료와 한도(보통 1회에 9만 원 정도)가 적용되는데 한도는 결제수단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충전 결제를 완료하고 나서 카드를 뒷면에 다시 접촉해주면 충전이 완료되고 연결이 중간에 끊어지는 경우에는 다시 진행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결제수단별 충전 수수료
카드의 경우 대부분의 회사가 3퍼센트 수수료가 발생하며 휴대폰 결제 충전은 6퍼센트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간편 계좌이체와 그냥 계좌이체도 3퍼센트가 되겠습니다.
캐시비 교통카드 모바일 캐시비 앱으로 충전 방법
실물 플라스틱 캐시비 교통카드를 바닥에 두고 휴대폰에서 모바일 캐시비 앱을 실행합니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앱 스토어에서 검색 후 설치 및 인증 가입을 해줍니다. 추후 모바일 캐시비 이용 가능합니다.

캐시비 교통카드 충전
메인 화면에 캐시비 카드 항목을 터치하거나 화면 왼쪽 위에 ≡ 삼선 아이콘을 터치해서 캐시비 카드> 카드 충전 및 카드조회 메뉴를 이용해도 됩니다. 카드 조회에서는 교통카드 이용내역을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NFC 켜기
휴대폰 기기에 nfc 기능을 켜줍니다. NFC 태그 쓰기와 읽기 등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 모드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충전하기 메뉴를 터치하고 실물 교통카드를 휴대폰 뒷면에 접촉시켜줍니다.

잔액조회 및 충전
그럼 인식이 되어서 캐시비 교통카드 번호와 잔액조회를 해볼 수 있고 충전 수단을 선택해서 충전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충전 시 수수료를 확인하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휴대폰 충전은 6퍼센트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이외 대부분 3퍼센트)


실물 교통카드 사용하는 게 번거롭다면 모바일 캐시비를 이용해 보는 것도 편할 겁니다. 플라스틱 교통카드보다 편리한 점이 있고 스마트폰 태그로 교통이용과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온라인 비대면으로 충전해서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