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미국 주식이나 ETF에 대한 정보는 정말 많은데, 정작 우리가 매일 뉴스로 접하는 국내 시장에 투자하는 법에 대해서는 깊게 고민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한국 시장에 투자한다고 하면 보통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같은 개별주를 떠올리기 쉽죠. 하지만 저처럼 개별 종목의 부침에 일희일비하고 싶지 않고, 한국 시장 전체의 성장성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ETF만 한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관심 있게 살펴본 상품, 신한 SOL KRX300 ETF(펀드코드: C4348)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KOSPI 200이 아닌, KRX 300을 추종하는 이유
우리가 흔히 시장 지수라고 하면 코스피 200을 가장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 SOL ETF는 이름처럼 KRX300 지수를 따릅니다.
이 둘의 차이가 뭘까요? KRX300 지수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시장을 대표하는 우량기업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즉, 코스피의 대형주뿐만 아니라 코스닥의 성장성 높은 중소형주까지 균형 있게 담아낸다는 뜻이죠.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매력적이었습니다. 코스피 200은 다소 전통 산업이나 대기업 위주로 쏠려있다는 느낌이 있는데, KRX300은 한국 시장의 현재(코스피)와 미래(코스닥)를 함께 안고 가는 느낌이랄까요?
물론 투자 대상은 100% 국내 주식이기 때문에 투자 위험 등급은 2등급(높은 위험)으로 분류됩니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고 예금자보호법의 보호를 받지 않는다는 점은 당연히 인지해야 합니다.
저렴한 수수료와 세금 혜택
ETF를 고를 때 제가 가장 중요하게 보는 두 가지가 바로 수수료(보수)와 세금입니다. 장기 투자일수록 이 작은 차이가 복리 효과를 만나 거대한 결과의 차이를 만들어내니까요.
이 ETF의 총보수는 연 0.0500%입니다. 1,000만 원을 투자해도 1년에 5000원 정도만 보수로 나간다는 뜻이죠.(물론 기타 비용까지 합산한 총보수비용은 연 0.1162% 수준입니다.)

이 정도면 투자자가 거의 모든 수익을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된, 아주 양심적인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강력한 무기, 보유기간과세 비적용 이게 핵심입니다. 이 ETF는 국내주식형 ETF로 분류되어, 매매차익에 대해 보유기간 과세(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보통 해외 ETF나 채권형 ETF는 수익이 나면 15.4% 세금을 내야 하는데, 이 상품은 그 세금이 면제된다는 겁니다.(물론 분배금에 대해서는 과세됩니다.)
이게 왜 중요할까요? 연금저축계좌나 ISA 같은 절세계좌가 아닌 일반 계좌에서 투자하더라도, 나중에 얼마의 수익을 내든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장기적으로 목돈을 굴릴 때 이보다 더 강력한 혜택이 있을까요?
그럼 성과는 어땠을까요?
과거의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진 않지만, 분명한 참고 자료는 됩니다.
- 최근 1년 수익률: 20.21%
- 최근 3년 연평균 수익률: 12.56%
흥미로운 점은, 추종하는 기초지수보다 펀드의 실제 수익률이 꾸준히 더 높았다는 사실입니다.(예: 최근 1년 펀드 20.21% vs. 지수 17.69%)

왜 그럴까요? 기초지수의 수익률에는 보수 및 비용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나옵니다. 제 생각에는 반대로 지수에는 포함되지 않는 배당금이 펀드에는 실제로 들어오기 때문에(배당 재투자 효과) 그 차이만큼 펀드 성과가 더 좋게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럼 그 배당금, 투자자에게 주나요? 네, 줍니다. 이 ETF는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성장성(시세 차익)과 기업의 이익(분배금)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구조죠.

SOL KRX300 ETF는 한국 시장 전체라는 바구니를 가장 저렴하고, 세금 효율적으로 살 수 있는 도구다.” 물론 100% 주식형 상품이기에 시장이 하락하면 당연히 원금 손실이 발생합니다.
특히 코스닥 종목이 포함된 만큼, 변동성이 코스피 200 추종 펀드보다 조금 더 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0년, 20년 뒤 한국 경제의 성장을 믿고 장기 투자하려는 분들, 특히 연금저축계좌에 어떤 국내 ETF를 담을지 고민하는 분들에게는 세금 혜택과 낮은 보수를 갖춘 이 ETF가 아주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투자는 언제나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겠죠?
- AI 투자의 새로운 관점, ACE 미국AI테크 핵심산업 액티브 ETF
- KODEX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월배당 ETF의 매력과 위험
- ACE 원자력TOP10 ETF, AI가 종목을 고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