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커버드콜 ETF, 배당은 높지만 원금은?

  • 기준

매달 꼬박꼬박 들어오는 높은 분배금은 너무나 매력적이지만, 한편에서는 주가 상승은 막히고 원금은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내린다는 무서운 경고도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특히 주식 고수라고 불리는 분들 사이에서 이런 부정적인 인식이 더 강한 것 같아, 이제 막 관심을 갖기 시작한 저 같은 투자자는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정말 커버드콜은 손실만 보는 구조일까요?

우리가 흔히 커버드콜의 단점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대부분 1세대 상품에 해당합니다. 기초자산이 오를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상방)이 거의 막혀있는 구조였죠.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를 때 다른 주식들은 훨훨 날아가는데, 내 커버드콜 ETF만 제자리걸음을 하면 속이 탈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시장이 급락할 땐 또 그대로 하락을 다 맞으니, 주가가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면 장기적으로 계좌가 녹아내릴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한 2세대 커버드콜 상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상방을 얼마나 열어두었는가입니다.

흥미롭게 본 한 상품의 경우 기초자산 주가가 오르면 그 상승분의 90%까지 따라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물론 나머지 10%의 상승분은 포기하는 대가로 높은 월배당을 받는 구조지만, 기존 상품들처럼 주가 상승을 구경만 해야 했던 답답함은 상당 부분 해소된 셈입니다.

커버드콜 투자의 타이밍

그렇다면 이 2세대 커버드콜은 언제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한 커뮤니티에서 본 사계절 타이어 비유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뜨거운 여름 (확실한 상승장), 이럴 땐 당연히 여름용 타이어, 즉 기초자산(본주)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가장 높은 수익을 냅니다.

꽁꽁 어는 겨울 (확실한 하락장), 이럴 땐 윈터 타이어를 끼거나(인버스 투자) 아예 운전을 쉬는(현금 보유) 것이 현명합니다.

커버드콜은 바로 애매한 봄, 가을 날씨에 빛을 발하는 사계절 타이어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AI 시장처럼 버블이 걱정되지만 그렇다고 투자를 안 할 수는 없는 그런 시장 말입니다.

앞으로 70% 확률로 더 오를 것 같지만, 30% 확률로 횡보하거나 조정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때, 양수겸장의 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상승장에서는 상승분의 90%를 따라가면서 오름세를 놓치지 않고, 만약 횡보하거나 약세장이 오더라도 연 10~20%의 높은 분배금이 하락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정성을 더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다른 의문이 생깁니다.

상승분의 10%만 포기해서 어떻게 연 20%에 달하는 엄청난 분배금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이 부분이 가장 궁금했는데, 몇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있었습니다.

  • 옵션 거래 빈도: 매달 한 번씩 옵션을 파는(월물) 것보다 매일 옵션을 파는(일물) 방식이 훨씬 더 많은 수익(프리미엄)을 챙길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 상품들이 Daily 옵션 전략을 쓰는 이유입니다.
  • 뜨거운 시장의 열기: AI처럼 모두가 주목하는 분야는 주가 변동성도 크고, 그만큼 옵션 가격이 비싸게 형성됩니다. 비싸게 팔 수 있으니 분배금 재원도 자연히 늘어납니다.
  • 자본 이익 분배: 2024~2025년처럼 AI 랠리가 펼쳐진 구간에서는, ETF가 보유한 기초자산의 일부를 비싸게 팔아서 얻은 차익을 분배금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 자본 환급(주의!): 가장 주의 깊게 봐야 할 부분입니다. 분배금 중 일부는 수익이 아니라 내 투자 원금을 돌려주는 자본 환급일 수 있습니다. 이건 세금을 떼지 않기 때문에 과세표준액을 보면 구분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주당 분배금이 200원인데 과세표준액이 160원이라면, 40원은 내 원금을 돌려준 셈이죠. 다행히 제가 살펴본 상품은 자본 환급 비중이 지난 1년간 전체 분배금의 20% 수준으로, 대부분은 실제 운용 수익에서 나오고 있었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 리스크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현실적인 리스크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 원금 손실 가능성: 분배금은 옵션 수익으로 주니까 원금 손실은 없지 않나요?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기초자산이 폭락하면 커버드콜 ETF도 똑같이 폭락을 피할 수 없습니다. 높은 분배금은 손실을 일부 만회해주는 완충재일 뿐, 원금을 지켜주는 방패가 아닙니다.
  • 다소 비싼 운용보수: 이런 복잡한 구조의 상품은 대체로 운용보수가 비싼 편입니다. (연 0.7%대) 단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아닐 수 있지만, 10년 이상 장기 보유 시에는 이 수수료가 복리로 쌓여 수익률을 갉아먹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자가배당이라는 대안: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목적이라면, 굳이 커버드콜이 아니더라도 ‘자가배당’이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QQQ ETF를 보유하면서 매달 필요한 만큼(예: 0.5%)씩 직접 팔아서 현금 흐름을 만드는 방식이죠.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는 시장 상황과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함께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내용을 종합해본 결과, 커버드콜 ETF는 독이 든 성배라기보다는 특정 상황에 유용한 특수 공구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든 상황에 맞는 만능(All Mighty) 상품은 아니며, 특히 10년 이상 장기 투자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향후 1년 정도를 내다봤을 때, 특정 분야가 크게 오르거나 혹은 옆으로 횡보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의 과실을 일정 부분 챙기면서, 시장이 주춤할 때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2세대 커버드콜 상품들을 한번 주의 깊게 공부해 보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