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바다갈라짐 현상 날짜 시간 조회 방법


바다 갈라짐 현상은 수심 낮은 곳이 수면 위로 드러나 나타나는 현상으로 마치 바닷길이 열린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갈라진 바닷길을 통해서 통행이 가능하며 날짜와 시간을 선택해서 해당 지역의 바다갈라짐 현상에 대한 예측 정보를 조회 확인해볼 수도 있습니다.

예측 조회가 가능한 지역으로는 동섬, 우도, 제부도, 소매물도, 옹도, 서건도, 무창포, 대섬, 하섬, 진도, 화도, 실미도, 소야도, 선재도가 있습니다. 예측 조회를 원하는 지역을 선택 후 조회를 해보면 갈라짐 시간이랑 횟수 확인이 가능하겠습니다. 안내되는 예측 정보는 날씨 등에 따라서 상이할 수도 있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바다 갈라짐 시간 조회 방법

△ 네이버에서 국립해양조사원을 검색해서 접속을 합니다.

해양생활

△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해양정보> 해양생활> 바다갈라짐 메뉴를 클릭합니다.

△ 조회할 지역(섬)을 선택하고 날짜(월/일) 선택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예보 조회

△ 그럼 횟수와 갈라짐 예측 시간을 확인해볼 수 있겠습니다. 도서명 항목에서 이름을 클릭해봅니다.

달력 형식

△ 예측 정보를 달력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적색 밑줄은 전날이고 이탤릭체 청색은 다음날입니다. 시간표시가 되어 있다면 해당 시간 동안에는 통행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보시면 될 겁니다.

하루 종일 계속은 말 그대로 하루 종일 바닷물이 갈라져 있어서 언제나 통행이 가능하고 3일 날 “4일 전-14:45″는 3일을 기준으로 해서 4일 전인 전달 말일쯤부터 3일 오후 2시 45분까지 바닷물이 갈라져서 통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국내의 각 지역(섬)에서 일어나는 바다갈라짐 현상에 대한 예측 정보를 알아보고자 할 경우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필요시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날씨에 따라 예보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