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에 본인 계좌를 보유하고 있다면 광주와뱅크 스마트뱅킹 앱을 통해서 편리하게 전자금융 서비스를 이용해 볼 수 있을 겁니다. OTP는 One Time Password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해서 거래 시 사용해 볼 수 있는 보안매체로 광주은행에서 발급받은 경우 다른 은행에서도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타기관/타은행에서 발급한 OTP를 광주은행에 등록해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당행에서는 실물 보안매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OTP를 발급 받아서 핸드폰에서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존에 디지털OTP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물 OTP를 등록하게 되면 실물 보안매체로 변경되는데요. 디지털과 실물 보안매체는 병행해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타기관OTP를 광주은행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본인 인증과 기존 본인 명의 계좌 확인 인증 + 실물 신분증 휴대폰 촬영 인증 비대면 실명 확인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모든 인증을 완료하고 난 다음에 타기관 보안매체를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등록 시 일반 OTP와 스마트 OTP 선택 종류가 있으며 업체 밴더 코드와 일련번호 입력이 필요합니다.
등록 가능 OTP 종류
- 일반: 001)한국정보인증(미래테크), 002)메타넷티플랫폼(코마스),003)인터넷시큐리티, 004)바스코, 005)인카드, 006)시큐어컴퓨팅, 007)액티브아이덴티티, 008)아이덴티티, 009)토판폼즈, 010)스마트크리에이티브, 011)스마트이노베이션, 016)코나아이, 018)이트리즈시스템, 019)엠파이브
- 스마트: 301)한국정보인증(미래테크), 310)스마트크리에이티브, 312)아톤
광주은행 타기관 OTP 등록 방법
본인 휴대폰에서 광주와뱅크 모바일 앱을 실행하고 로그인합니다.

보안센터
홈 화면 오른쪽 하단에 “전체” 메뉴를 터치하고 다음 화면 상단에 “보안센터” 메뉴를 터치합니다.

보안매체 관리
보안센터에서 보안매체 관리 항목을 보시면 광주은행OTP 재등록과 타기관OTP 등록 메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실명 확인 절차
등록하기 전 휴대폰 인증과 계좌/실물 신분증 인증을 위한 준비 사항을 체크합니다.

보안매체 정보 입력
이상이 없다면 일반 또는 스마트 OTP 중에 선택해서 보안매체 정보를 입력 후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실물 보안매체 사용이 번거로운 경우에는 디지털 OTP를 발급받아서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발급 과정은 비슷하게 비대면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주시면 됩니다.
[관련글]
–광주은행 계좌 비밀번호 찾기 변경 및 오류 초기화 방법
–광주은행 무통장 무카드 atm 스마트출금 및 창구출금 방법